소프트웨어 개발 방법 및 도구/Linux OS에서 한 학기 살아보기 (14) 썸네일형 리스트형 Linux OS에서 한 학기 살아보기 (15) [후기] 리눅스에서 한 학기 살아 보기 마무리편 지난주를 끝으로 ‘리눅스에서 한 학기 살아 보기’ 과제가 끝났다. 처음 리눅스 데스크탑을 바라보면 부정적인 느낌이 가득했다. 하지만 지금은 리눅스에 대해서 조금 더 연구하고 싶은 마음이 든다. 리눅스는 알면 알수록 알아야 하는 것이 많아지기 때문인 것 같다. 리눅스를 공부한다는 것은 리눅스를 이용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리눅스 운영체제를 만들어온 사람들의 생각을 배우는 것 같다. 버전이 올라가면서 새로 생기는 기능(소프트웨어)들과 사라지는 기능(소프트웨어)들을 보며 느낀 점이다. 리눅스를 사용하는 것은 아직 편하지 않지만 결국, 교수님이 강의 초반에 말씀하셨던 대로 ‘불편하니까 쓰지 말아야겠다.’와 같은 생각은 들지 않는다. 과제를 마무리하며, 내가 한 학기 동안 리.. Linux OS에서 한 학기 살아보기 (13) 리눅스에서 한 학기 살아 보기 11편 1. 소프트웨어 선택: Go 지난 시간에는 프로그래밍 언어인 Python을 설치했다. Windows 운영체제에서 기존에 사용했던 소프트웨어를 리눅스에 설치하는 것도 의미가 있지만, 아직 한 번도 설치해보지 않은 소프트웨어를 리눅스에 설치해보는 것은 두 마리 토끼를 한 번에 잡는 기분이다. 오늘은 예전부터 배워보고 싶었던 프로그래밍 언어인 Go를 설치하고 기본적인 문법을 배워 볼 것이다. Go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직접 다운로드할 수도 있지만, 역시 터미널을 통해서 설치할 수 있다. 간단히 sudo apt-get install golang 명령어로 설치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실행 파일 경로를 추가해줘야 했다. export PATH=/usr/local/go/bin:$P.. Linux OS에서 한 학기 살아보기 (12) 리눅스에서 한 학기 살아 보기 -10편 1. 소프트웨어 선택: Python3 내가 처음 배웠던 언어는 Python3이다. Python은 처음에 이것저것 해보며 흥미를 느끼게 해주었기 때문에 옜날 초등학교 선생님을 떠올리게 한다. 프로그래밍에 대해 조금 더 알게 되자, 데이터 분석에 강한 언어로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것을 알게 되었고 더 좋아하게 되었다. 생각해보니 리눅스에 Python을 설치해보지 않은 것이 생각나서 이번 기회에 설치해보기로 했다. 2. 소프트웨어 개요 이전에 Python에서 조사했던 과제가 있어서 이를 참고하자면, 파이썬은 초보자부터 전문가까지 사용자층을 보유하고 있다. 동적 타이핑(dynamic typing) 범용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다양한 플랫폼에서 쓸 수 있고, 라이브러.. Linux OS에서 한 학기 살아보기 (11) 리눅스에서 한 학기 살아 보기 -9편 1. 소프트웨어 선택: R / R studio R 사용자의 대부분은 윈도우 버전의 R을 사용해서 데이터를 분석하고 연구를 진행한다. 국내 사용자의 90%가 윈도우 OS에서 R을 사용한다는 통계도 있을 정도다. 하지만, R의 병렬 프로그래밍이나 기타 전문적인 연산 작업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리눅스에서만 구동되는 패키지를 사용해야 할 일이 생긴다. 이를 위해 R을 리눅스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나는 이미 Windows에서 R과 R studio를 설치했지만,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한 번 더 설치해보려고 한다. 2. 소프트웨어 개요 R은 1993년 오클랜드 대학교에서 처음으로 개발되었다. 그 이후 여러 가지 통계적 이론에 관련한 패키지들과 플랫폼별 배포판들은 https://cr.. Linux OS에서 한 학기 살아보기 (10) 리눅스에서 한 학기 살아 보기 -8편 1. 소프트웨어 선택: Mongo DB 최근 쿠팡에서 일하고 있는 형과 전화를 했다.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다가, BA(Business Analyst)라는 직군에 대해 알게 되었다. 형의 말에 따르면, 회사 내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가공하고 분석하여, 회사의 비즈니스적 의사결정에 근거가 되는 자료들을 만들어 내는 직군이라고 했다. 형은 통계와 프로그래밍에 능력이 있다면 생각해볼 수 있는 직군이라고 설명했다. BA의 핵심 역량은 Query문을 잘 짜는 것이라고 했는데, 회사에서 데이터를 어떤 식으로 수집하고 저장하는지 잘 파악한 뒤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목적에 맞게 찾아 쓸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Query를 공부해보는 것은 데이터베이스를 제대로 사.. Linux OS에서 한 학기 살아보기 (9) 리눅스에서 한 학기 살아 보기 -7편 1. 소프트웨어 선택: Ulauncher 이번 주도 리눅스에서 설치해볼 소프트웨어를 찾아보았다. 그러던 중 아주 깔끔하고 유용한 소프트웨어를 찾았다. 각 데스크 톱 환경에는 고유한 시작 프로그램이 있어 작업을 수행하고 있지만 검색할 때마다 응용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일은 적잖이 번거롭다. 이를 위한 소프트웨어가 바로 Ulauncher라는 이름의 소프트웨어이다. 말 그대로 컴퓨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들을 바로 실행시켜주는 앱 런처이다. 2. 소프트웨어 개요 Ulauncher는 Linux용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 실행 프로그램이다. 디자인이 최소화되어 있고 검색 속도가 빠르며 시스템 리소스 사용량이 적어 Linux용 데스크톱 런처 중 하나로 손꼽힌다. Ulauncher는 GT.. Linux OS에서 한 학기 살아보기 (8) 리눅스에서 한 학기 살아 보기 -6편 1. 소프트웨어 선택: APM(Apache, Php, Mysql) 저번 주에 리눅스 웹서버를 구현해보려고 했지만, Alpine Linux에서 시도했던 탓인지 깔끔하게 실패했다. 아쉬움이 많이 남았었기 때문에 이번에는 리눅스 민트 운영체제에서 다시 도전해 보았다. 확실히 인터넷에 자료가 많아 쉽게 배울 수 있었다. 사실 Apache, Php 그리고 Mysql에 대해 잘 모르는 상태에서 무작정 웹서버 구축방법만을 목표로 배운 것이라. 각각의 소프트웨어가 어떤 것인지 조사해 보는 시간 또한 가져보았다. 2. 소프트웨어 개요 Apache 아파치 HTTP 서버는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관리하는 HTTP 웹 서버이다. BSD, 리눅스 등 유닉스뿐만 아니라 Windows, 노.. Linux OS에서 한 학기 살아보기 (7) 리눅스에서 한 학기 살아 보기 -5편 1. 소프트웨어 선택: ClamAV(리눅스용 백신) 어떤 소프트웨어를 설치해볼지 고민하다가, 이번 주 소프트웨어 개발방법 및 도구 수업의 연장으로 설치했던 Alpine Linux가 생각났다. Alpine Linux는 상당히 경량화된 Linux OS중 하나인데, 이를 통해서 리눅스 웹서버를 구현해보고 싶었다. 따라서 Alpine Linux를 이용하여 APM(Apache, Php, Mysql) 설치를 시도했다. 하지만 역시나 실패했다. 이유는 다음과 같았다. Alpine Linux는 bash 터미널이 아닌 Busybox의 ash 터미널을 사용하며, 패키지관리자로는 apk를 사용하였는데, 그에 대한 자료가 너무 없었다. 물론 나의 공부가 부족한 탓이겠지만, 반복되는 오류로..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