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프로세스 관리하기
프로세스란 지금 메모리에 로딩되어 실행되거나 실행될 예정인 프로그램을 말한다. 프로세서 위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이기도 하다. 리눅스를 사용하다보면 어떤 프로세스들이 실행중인지 확인해야 할 경우가 있다.
아래 여러 명령어를 통해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해볼 수 있다.
간단한 명령어
명령어 | 기능 |
ps | 터미널 내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보여줌 |
kill -9 [PID] | PID에 해당하는 프로세스를 죽임 |
ps -aux | 우분투상에 있는 모든 프로세스를 보여줌 |
top | 계속 정보를 갱신하면서 가장 프로세서를 많이 쓰는 프로그램 순서대로 목록을 보여줌 |
$ ps -aux 실행시
VSZ : 해당 프로세스의 총 메모리 사용량을 보여줌. 실제 메모리를 점유하고 있지 않고 있는 용량까지 포함한 총 사용량.
RSS: 해당 프로세스의 실제 메모리 사용량을 보여줌. 실제 메모리를 점유하고 있는 양.
STAT: 프로세스의 상태를 보여줌. R: 실행중 또는 실행할 수 있는 상태, S: 수면 상태, I: 휴식 상태 등
$ top 실행시
키보드로 q를 입력하면 종료할 수 있다.
2. 메모리 관리하기
각각의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메모리 사용량은 ps 명령어를 이용해서 확인할 수 있다. 그 외에 ps 명령을 이용하지 않고 현재 남은 메모리의 양을 확인하는 명령어로 free 라는 명령어가 있다.
아래 명령어 입력시 현재 남은 메모리의 양을 메가바이트(MB) 형태로 보여준다.
$ free -m
* Swap 영역이란 저장 장치 일부를 메모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공간을 말한다(메타데이터를 말하는 듯). 물리 메모리 공간이 부족하면 일부 프로그램의 데이터들을 Swap 영역으로 옮기고 물리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이러면 컴퓨터가 느려지는 단점이 있지만 메모리 부족으로 컴퓨터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막아 준다.
3. 저장장치 관리하기
저장 장치의 목록과 사용량을 보고자 한다면 df 명령을 이용한다
$df -h
-h 옵션은 사용자가 보기 좋에 단위를 보여달라는 옵션이다. /dev/nvmen1p5 저장장치가 /(루트) 디렉토리에 마운트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추가로 저장 장치의 전체 용량을 확인하는게 아니라 각각의 폴더의 용량을 확인하고 싶을 때는 아래의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du -h /home/aaa
위 명령은 /home/aaa라는 폴더에 있는 파일과 그 하위 디렉토리의 모든 용량의 합을 더해서 보여주는 명령이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워드프레스 설치] 우분투 리눅스 입문편 - 리눅스의 신 (6) (0) | 2021.01.03 |
---|---|
[APM 설치] 우분투 리눅스 입문편 - 리눅스의 신 (5) (0) | 2021.01.03 |
[루트 계정] 우분투 리눅스 입문편 - 리눅스의 신 (3) (0) | 2021.01.02 |
[시스템 구조 파악하기] 우분투 리눅스 입문편 - 리눅스의 신 (2) (0) | 2021.01.01 |
[기초 명령어] 우분투 리눅스 입문편 - 리눅스의 신 (1) (0) | 2021.01.01 |